반응형
🔎 저시력자, 고령자 등도 인식할 수 있도록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대비는 4.5:1 이상이어야 한다.
📌 텍스트 콘텐츠의 색과 배경 색을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대비한다.
📌 명도 대비 평가 도구
- CCA Tool (설치형)
- chrome 기본 브라우저에서 명도 대비 확인
- WCAG Color contranst Checker
📌 명도대비 체크리스트
- 메타포(아이콘, 버튼 등)와 배경색의 명도대비 4.5:1 이상
- 객체에 아웃라인 보더 컬러, 강조색의 경우
- 입력 도움 용 텍스트(input value, placeholde 컬러 값 등)
📌 명도대비 예외 사항
- 콘텐츠와 배경 색의 명도 대비가 3:1까지 허용되는 경우
- 부가적인 정보의 제공 (게시판의 경우 날짜, 카테고리 등)
- 텍스트가 18pt 또는 굵은(bold) 14pt 이상일 경우
- 확대 가능한 페이지의 일반 텍스트 또는 이미지 텍스트
- 비활성화 콘텐츠 (입력 방지용, 사용할 수 없음 표시용)
- 장식 목적의 콘텐츠 (로고, 장식용 이미지)
📌색맹 사용자의 경우 특정 색을 구별하지 못한다.
- 적록 색맹의 경우 적색과 녹색을 구분할 수 없음 / 전색맹의 경우 색을 감지할 수 없음.
📌 콘텐츠를 색을 이용해서만 정보를 제공해서는 안된다. 색상 이외에 패턴, 크기, 모양 등으로 정보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.
- 그래프, 차트가 색을 이용해 정보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례
✅ 그래프에 정보가 많다면 차트나, 그래프 대신 데이터 테이블을 제공
✅ 컬러 차트에 패턴도 추가 또는 컬러 아이콘의 경우 관련 정보를 텍스트로 추가 제공
- 컬러만을 사용해서 정보제공을 해선 안됨
✅ 페이지네이션 블릿의 경우 위와 같이 다른 모양등으로 UI를 제공해준다.
✅ 색상으로만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.
- ex. 주식에서 상승과 하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화살표 방향에 차이를 주는 등의 추가 정보제공 방법 필요.
반응형
'퍼블리싱 > 웹접근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 디바이스 해상도 뷰포트[Android] (3) | 2024.11.12 |
---|---|
모바일 디바이스 해상도 [iOS] (2) | 2024.11.07 |
[웹접근성] web focus 포커싱 (tabindex) (1) | 2024.03.05 |
[웹접근성] 스크린 리더 (0) | 2024.03.05 |
[웹접근성] iOS VoiceOver (0) | 2024.03.05 |